[화학] 요오드 (I2, Iodine)

[화학] 요오드 (I2, Iodine)

SSHBlog, 화학제품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오드 (아이오딘, 요드, 옥도, 옥소, Iodine, I2) 제품에 대하여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요오드는 저희 신승하이켐에서 국내에 많은 양을 판매하고 있는 제품 중 하나로서 저희에게도 매우 중요한 품목입니다. 요오드는 세계적으로 몇 개 안되는 국가에서만 얻어지기 때문에 공급 가능한 국가들이 많지 않습니다. 저희 신승하이켐에서는 일본산 요오드를 수입하여 판매 중이며, 일본은 세계 최대 요오드 생산국 중 하나입니다. 특히나 일본 제조 업체의 제품은 우수하고 일정한 품질, 안정적인 가격, 빠른 납기 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요오드 제품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요오드의 화학 구조식은 I2로서 대표적인 할로겐 화합물 중 하나입니다. 요오드는 화학적으로도 승화성 고체로서 많이 소개되곤 하는 물질입니다. 고체로서는 갈색, 검보라색을 띄는 금속 광택의 고체 물질이며, 승화되면 보라색 기체 형태를 띄게 됩니다. 화학 원소로서의 요오드 (I) 또한 화학에서의 중요도가 매우 높아서 다양한 분야에 꼭 필요한 원소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먼저 인체에도 꼭 필요한 영양소로서…
Read More
[화학] 산화방지제 (Antioxidant)

[화학] 산화방지제 (Antioxidant)

SSHBlog, 화학제품
 이번 소개해드릴 포스팅은 산화방지제(Antioxidant) 제품입니다. 먼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의 가공을 더 용이하게 하고, 이들 제품의 취약한 물성을 보완, 개선시키기 위하여 가공이나 중합과정에 첨가되는 화학물질을 ‘플라스틱 첨가제’ 라고 합니다. 오늘은 다양한 플라스틱 첨가제 중 ‘산화방지제(Antioxidant)’ 에 대해 소개를 드릴까 합니다. ‘산화방지제(Antioxidant)’ 는 플라스틱이 공기와 반응하여 쉽게 산화반응 되는 것을 막아, 품질저하를 일이키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폴리에칠렌) & PC(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 & PA(Polyamide, 폴리아마이드, 나일론 등) & PVC(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ET, ABS 등 플라스틱에 주로 사용을 합니다 ‘산화방지제’ 는 사용되는 원료에 따라 크게 ➀페놀계, ➁아민계, ➂유황계 그리고 ➃인계 산화방지제로 크게 분류가 됩니다. 이중 페놀계와 아민계는 '1차 산화방지제‘ 로서 연쇄 금지제 역할 (산화열화 반응을 억제 방지) 을 합니다.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가공 중 변색으로 인해 주로 고무(Rubber) 분야에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2차 산화방지제’ 에는 Phosphite 계, Thioester 계 가…
Read More
[화장품] 탈크 (Talc)

[화장품] 탈크 (Talc)

SSHBlog, 화장품원료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이크업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 원료인 탈크 (탤크, Talc)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탈크는 주로 파운데이션(Foundation), 아이섀도우 (Eye Shadow) 등의 색조 화장품 (Make-Up)류 및 파우더 (Powder) 제품류에 널리 사용 중인 주요 원료입니다. 제품의 광택, 발림성, 밀착성 등을 향상시키며 사용감 또한 개선해줍니다. 본 탈크 제품을 엄선된 원료를 사용하여 높은 안전성과 품질을 제공합니다. 저희 신승하이켐은 일본 탈크 제조사의 국내 대리점으로서 모든 제품군에 대하여 수입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일본 탈크 제조사는 다양한 특징별 고품질 제품군을 보유하여 일본내에서도 매우 인기가 높은 제품입니다. 일본 내 주요 화장품 업체에서도 해당 업체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탈크 원석인 활석은 파키스탄, 인도, 태국, 중국 등에서 채광되어 일본 공장에서 직접 가공되어 제품화 됩니다. 본 탈크 제조사는 높은 자체 기술력을 통하여 우수한 원석 선별 및 고품질의 최종 탈크 화장품 원료 생산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탈크 제품은 헌터(Hunter)법에 따른 백색도…
Read More
[식품] 천연 보존료 ε-폴리리신 (ε-Poly-L-lysine, polylysine)

[식품] 천연 보존료 ε-폴리리신 (ε-Poly-L-lysine, polylysine)

SSHBlog, 식품원료
ε-폴리리신 (폴리라이신, ε-Poly-L-lysine, polylysine)이란? 방선균 (Streptomyces albulus)이 생성하는 강염기성 아미노산 (L-Lysine)이 25~35개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양(+)이온의 전하를 띄고 있는 폴리리신이 음(-)이온의 전하를 띄고 있는 미생물의 세포막과 이온결합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함으로써,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력을 가지게 됩니다. 평균 분자량 : Mn 4,090 분자량 분포 : Mw/Mn 1.14 중량평균 분자량 : Mw 4,700 등전점 pI : pH 9~10 ε-폴리리신의 등록 현황 한국 식품첨가물 공전 미국 FDA GRAS Notice No. GRN 000135 미국 FDA GRAS Notice No. GRN 000336 일본 식품첨가물 공전 기존첨가물(천연첨가물) No. 309 다양한 식품에 맞춤 적용을 위한 ε-폴리리신의 다양한 제품군 제품명 적용분야 사용량 포장단위 GL-110 계란지단, 화이트소스, 포테이토샐러드, 스팀케이크, 카스타드크림, 휘핑크림, 각종필링 외 기타 0.1~0.5% 10kg / box SJ-611 스팀케이크, 계란지단, 액상식품 외 기타 0.1~1.0% 10kg / box GL-216G 고추장소스, 마요네즈, 비프스튜, 만두, 스팀케이크, 카스타드크림, 불고기, 드레싱, 각종 필링 소스 외 기타…
Read More
[화학] 오붕산 암모늄 (Ammonium Pentaborate, Ammoniumpentaborat)

[화학] 오붕산 암모늄 (Ammonium Pentaborate, Ammoniumpentaborat)

SSHBlog, 화학제품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붕산 암모늄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오붕산 암모늄은 (Ammonium Pentaborate, Ammoniumpentaborat) 암모늄 펜타보레이트 또는 암모늄 붕소 산화물로 불러지기도 합니다. 또한 CAS No. 는 12007-89-5 이며 화학식은 NH4B5O8·4H2O 입니다. 오붕산 암모늄은 암모니아, 물 그리고 붕산의 반응 조절의 결과로 나온 물질입니다. 알칼리염과 하얀결정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이 없고 하얀 고체 성분입니다. 오붕산 암모늄의 종류는 파우더(Technical Powder) 형태와 알갱이(Granular) 두 종류입니다. 특징은 물에 잘 용해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붕소 화학물질의 중간체로서 전력 수준조절과 비료, 살충제에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오붕산 암모늄의 종류는 콘덴서로 잘 알려진 전해 축전기 (Electrolytic capacitors) 와, 금속의 산화를 막고 용접 시 사용 되는 부식 억제제 (Corrosion inhibition), 내연제 제품을 만들기 위한 방염가공 (Flame proofing) 그리고 내화물, 내화코팅/ 도료의 수명연장을 위해 주로 쓰입니다. 특히 오붕산 암모늄은 에폭시 수지, TPU, 우레탄 폼의 효과적인 내연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저희 신승하이켐에서는 고품질의…
Read More
[화학]활성탄(Activated Carbon, Activated Charcoal)

[화학]활성탄(Activated Carbon, Activated Charcoal)

SSHBlog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활성탄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활성탄은 (Activated carbon, Activated charcoal) 액체나 기체 안의 용질 등에 대해 흡착성을 나타내는 탄소질을 함유한 물질 입니다. 활성탄의 주요 3가지 형태(form)로는 powder, granular, extruded가 있는데, 각각의 형태는 적용분야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가공이 되며, 활성탄의 표면은 흡착작용을 수행하는 미세한 구멍들(pore)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활성탄의 역사 활성탄의 첫 대량생산은 20세기 초에 이루어졌는데 그 당시에는 활성탄을 주로 화학물과 음식의 탈색에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활성탄은 1차세계대전 동안에 미국병사들을 유독가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독면 제조에 사용되었고, 이러한 개발은 Granular 타입 제품의 대량생산에 기여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활성탄의 제조방법 활성탄은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석탄(coal), 코코넛(coconut), 견과류의 껍질(nutshell), 이탄 또는 토탄(peat), 나무(wood), 갈탄(lignite) 등으로부터 만들어 집니다. 탄소를 다량 함유 하고 있다면, 어떤 물질이라도 활성탄 제조에 사용 될 수 있습니다. 탄소기반 물질은 대기와 온도가 통제된 용광로 안에서 물리적인 변화와 열분해를 거쳐…
Read More
[화학] Cyclohexylamine(시클로헥실아민, CHA) & Dicyclohexylamine(디시클로헥실아민, DCHA)

[화학] Cyclohexylamine(시클로헥실아민, CHA) & Dicyclohexylamine(디시클로헥실아민, DCHA)

SSHBlog, 화학제품
안녕하세요. 아민 유기화합물로 잘 알려진 시클로헥실아민(Cyclohexylamine, CHA)과 디시클로헥실아민(Dicyclohexylamine, DCHA) 제품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근래에는 영어 발음대로 사이클로헥실아민,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시클로헥실아민 Cas No : 108-91-8     디시클로헥실아민 Cas No : 101-83-7     두 제품의 차이는 아민에 결합한 시클로헥산고리의 수인데요. 시클로헥실아민은 시클로헥산고리가 한 개, 디시클로헥실아민은 시클로헥산고리가 두 개입니다. (Di는 그리스어로 숫자 2를 뜻합니다.)   이름, 구성 원소 등 비슷한 부분이 많은 만큼 공통점도 많습니다. 먼저 촉매 하에 아닐린과 수소를 반응시켜 제조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두 물질 모두 보통 무색이며, 종종 노르스름한 색을 띄기도 합니다. 또한, 두 제품 모두 생선 비린내가 나며 물에 조금 녹습니다.     용도 또한 비슷한데요. 고무의 가황촉진제, 부식 방지제로 쓰이며 제초제를 만드는 데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전자재료에서 용제, 박리액으로 사용합니다.       시클로헥실아민의 용도는 네 가지가 더 있는 데요. ①감미료인 시클라메이트(cyclamate, 사이클라메이트)의 원료 ②프린트 잉크 산업에서…
Read More
[화학]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화학]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SHBlog, 화학제품
이번 포스팅에서는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FS) 제품에 대하여 다뤄볼까 합니다. SFS 제품 판매 문의: 공급사, 판매처 (주)신승하이켐 / Tel: 02-586-5549 SFS는 소듐 메탄알 설폭실레이트, 소듐 폼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 등으로 불리우며 화학식은 CH3NaO3S, CAS Number는 149-44-0 입니다. 흰색의 고형분으로서 Sulfur 계통의 화학제품이다 보니 특징적인 마늘 냄새가 나는 제품입니다. SFS 제품은 사실 1900년대 초에 독일에서 화학 제품으로서 개발되어 매우 오랜 기간동안 산업에 널리 이용되어 온 물질입니다. 독일 제품의 상표명인 롱가리트 (론가리트, 롱갈리트, Rongalite)가 매우 유명하여 아직도 업계에서는 해당 상표명으로 그 명칭이 통용되고 있습니다. SFS의 제조 합성의 주요 원료는 아연(Zn)과 가성소다(NaOH), 황(S)으로서 해당 원료들의 가격 동향에 따라 이 SFS의 가격도 변동이 있습니다. SFS 제품은주로 섬유 산업에서 섬유 염색의 탈색제로서 사용됩니다. 섬유 염색에 있어서 SFS의 품질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낮은 품질의 SFS를 사용시 섬유 염색시 기름과 같은 불순물이 발생하는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에…
Read More
[화장품] 화장품용 색소 원료 소개

[화장품] 화장품용 색소 원료 소개

SSHBlog, 화장품원료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희 신승하이켐에서 취급 중인 원료군 중 하나인 화장품용 색소에 대하여 다뤄볼까 합니다. 화장품에는 기본적으로 색소 원료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요, 얼굴에 색을 입히는 역할을 하는 립스틱, 아이섀도우 등의 색조화장품에는 물론이고, 스킨, 로션,크림 등의 스킨케어 제품에도 제품의 컨셉에 맞는 색상을 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색조화장품에서는 미세한 색의 차이도 화장품 완제품의 발색을 좌우하기 때문에 우수한 발색력과 균일한 색상 품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스킨케어 화장품에서는 사용자의 심미적인 측면에서 색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여 은은한 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됩니다. 이렇게 화장품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원료인 색소원료는 식약처의 색소 법규에 따른 적합한 원료만을 사용하여야 하며, 수출되는 화장품의 경우에는 각국의 나라 규정에 맞춘 제품을 사용하여야만 합니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각각의 색소제품별, 제조업체별로 미국 FDA에 등록된 원료만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색소 제품에 따라 눈, 입술 등 적용 부위에 적용되는 화장품에는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된 색소…
Read More
[화학] Sodium Borohydride (수소화붕소나트륨, NaBH4)

[화학] Sodium Borohydride (수소화붕소나트륨, NaBH4)

SSHBlog, 화학제품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승하이켐 화학사업부에서 공급 중인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Sodium Borohydride (수소화붕소나트륨,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NaBH4)제품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Sodium Borohydride의 화학식은 NaBH4로서 Sodium tetrahydridoborate, Sodium tetrahydroborate의 다른 화학이름도 가지고 있습니다. NaBH4는 무취의 백색 파우더 형태를 띄고 있는 무기 화합물입니다. NaBH4의 대표적인 합성법은 Trimethyl borate (TMB)와 Sodium Hydride를 이용하는 Schlesinger법으로서 아래의 화학식을 통하여 생성됩니다. B(OCH3)3 + 4NaH → NaBH4 + 3NaOCH3 참고로 저희 신승하이켐에서는 이 TMB의 공급 업체이기도 합니다. (용접, 내화물 등의 용도로 사용) 다시 NaBH4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그 주요 용도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소디움보로하이드라이드, NaBH4는 수많은 화학반응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환원제로서 환원력도 매우 좋고 다른 환원제들과 비교하여 생산량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상용적인 환원제로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화학적으로 다양한 Carbonyl(카르보닐) 유기물을 환원시켜, Ketone(케톤), Aldehyde(알데하이드)기를 Alcohol(알코올)기로 환원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또한 금 등의 금속 이온 전구체를 나노 금속 입자로 생산하는 첨단 나노 재료 생산에도 환원제로 사용 중입니다. 수처리,…
Read More